본문 바로가기

항공,여행185

항공정비사 취업, 면장 있어도 서류 광탈하는 진짜 이유 항공정비 면장만 따면 취업은 쉬울 거라 생각했던 분들, 생각보다 떨어지는 서류 합격률에 당황하지 않으셨나요?실제로 필기, 구술 모두 통과하고도 항공사 지원에서 연속 탈락하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문제는 스펙 부족이 아닙니다. ‘항공정비사로서의 사고력과 서류 전략’ 부족이 더 큰 이유입니다.🔍 단순 자격증이 아니라 '정비사 사고방식'을 본다항공정비사 채용은 단순 기술직 선발이 아닙니다. 비행 안전을 책임지는 직무인 만큼, 정비 사고력과 판단 기준을 갖춘 사람을 원합니다.면장만 있다고 해도, 서류에서 이런 질문을 던지지 못하면 탈락합니다.“이 지원자는 현장에서 문제 상황에 어떻게 대응할까?”“정비 기준서 외에 실제 협업과 보고체계를 이해하고 있을까?”정비 실습에서 어떤 문제를 겪었고, 어떻게 해결했는지. .. 2025. 6. 2.
항공기 감항성 유지란 무엇인가? 정비사의 핵심 역할 “항공정비사는 고장만 고치는 사람 아닌가요?”정답은 NO입니다. 항공정비사는 단순한 기술자가 아니라, 항공기 감항성을 유지하고 수백 명의 생명과 연결된 안전을 책임지는 전문가입니다.하지만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감항성’이 무엇인지조차 모른 채 자격증 준비에만 몰두합니다.이 글에서는 **항공기 감항성(Airworthiness)**의 개념부터, 정비사의 역할, 실무에서 주의해야 할 포인트까지 정리해드립니다.✅ 감항성(Airworthiness)이란?‘감항성’이란, 항공기가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항공기 설계, 제작, 운영, 정비 등 전 과정에서 법적·기술적 기준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핵심 개념입니다.항공안전법 제2조에 따르면, 감항성은 “항공기가 비행하기에 적합한 구조, 성능 및 상.. 2025. 6. 2.
항공정비사 취업, 자격증만 있으면 될까? “자격증만 따면 항공정비사 된다던데요?” 많은 학생들이 이렇게 시작하지만, 현실은 전혀 다릅니다.항공정비사 자격증은 기본입니다. 하지만 취업에 성공하려면 그 이상을 준비해야 합니다.항공사는 단순히 ‘면장 보유자’를 뽑지 않습니다.정비 경험, 사고 대처 능력, 의사소통 역량, 그리고 정비 흐름을 말로 설명할 수 있는 능력까지 평가합니다.실제 채용 면접에서는 이런 질문이 나옵니다.“정비 실습 중 기억에 남는 상황은?”“비행기 감항성 유지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점은 뭐라고 생각하나요?”“실수한 경험이 있다면, 어떻게 대처했나요?”여기에 제대로 답하려면, 그저 실습에 참여한 것만으론 부족합니다.기록, 정리, 그리고 이야기화된 정비 경험이 필요합니다.✅ 자격증보다 중요한 건 실전 감각‘AMT 자격증’이나 ‘항공정.. 2025. 6. 2.
2025년 항공정비사 연봉 등급별 완전 분석 - 신입/5년차/10년차 실제 급여표 공개 "항공정비사 연봉이 정말 4000만원 넘나요?" 막연한 정보는 그만! 등급별 정확한 연봉 데이터를 최초 공개합니다. 대한항공부터 LCC까지, 신입부터 부장급까지 리얼한 숫자로 확인하세요!👉 ✈ 양학동선 전자책 보러가기 등급별 연봉 실제 데이터 - 항공사별 급여표 대공개!신입 항공정비사 실제 연봉 (2025년 기준)대한항공: 5,400만원 (야간수당 포함 실수령 5,800만원)아시아나항공: 5,200만원 (수당 포함 5,600만원)제주항공: 4,600만원 (수당 포함 4,900만원)진에어: 4,400만원 (수당 포함 4,700만원)5년차 중견 정비사 연봉대형사 대리급: 6,800만원~7,200만원LCC 주임급: 5,800만원~6,200만원10년차 베테랑 정비사 연봉대형사 과장급: 8,500만원~9,2.. 2025. 6. 2.
항공정비사가 알려주는 항공기 전기시스템의 비밀 - AC vs DC 전원, 이것만 알면 끝! "아, 이게 그냥 플러그 꽂으면 되는 게 아니구나..."항공정비학과 1학년 때 전기시스템 수업을 처음 들었을 때의 당황스러움이 아직도 생생합니다.여러분도 항공기 전기시스템이 복잡하다고 생각하시나요? 사실 원리만 이해하면 생각보다 간단해요!현장에서 항공기를 만져본 정비사가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DC vs AC, 항공기는 뭘 쓸까? 집에서 쓰는 220V와 항공기 전기는 완전히 달라요.항공기는 주로 28V DC와 115V AC 400Hz를 사용합니다. "어? 400Hz?" 맞아요, 일반 전기 60Hz보다 훨씬 높죠.DC는 배터리처럼 전류 방향이 일정해서 통신장비, 내비게이션, 비상조명에 주로 써요.반면 AC는 갤리(기내 주방), 객실조명, 에어컨 같은 큰 전력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죠. 400Hz를 쓰는 이.. 2025. 6. 2.
항공기 유압시스템 핵심 정리 - 조종면이 움직이는 원리 "조종사가 조종간을 살짝 움직이는데, 어떻게 거대한 날개가 움직일 수 있을까요?"무게 200톤이 넘는 대형 항공기에서 조종사의 작은 힘으로 거대한 조종면을 움직일 수 있는 비밀, 바로 유압시스템 때문입니다. 항공기에서 가장 중요한 시스템 중 하나이면서도, 일반인들에게는 다소 생소한 개념이죠. 항공정비사 시험에서도 단골로 출제되는 유압시스템! 복잡해 보이지만 원리를 이해하면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유압시스템의 작동 원리부터 실제 항공기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까지, 쉽고 명확하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유압시스템의 기본 원리와 필요성파스칼의 원리가 핵심입니다. 밀폐된 용기에 비압축성의 유체를 채운 상태에서 힘을 주면 내부에 작용하는 압력은 어느 구간이든 동일하게 작용한다는 원리를 활용한 것이죠. 간.. 2025. 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