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압계통(Hydraulic System) 기본 구조와 구성품
핵심 하위 시스템과 주요 구성품
학생들이 자주 헷갈리는 개념이다. 보잉737NG의 유압계통은 A, B, Standby 3개의 독립 회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회로는 작업 영역 및 예비 기능이 명확히 구분된다. 각 유압 회로의 구성 및 주요 부품은 현장 트러블슈팅의 첫걸음이다.
- Pump(펌프): 엔진구동(E1, E2), 전동구동(M1, M2) 등 총 4개가 존재한다.
- Reservoir(저장조): 오일 저장 및 Bubble 방지 역할을 한다.
- Filter(여과기): 이물질 유입 차단 및 계통 보호가 목적이다.
- Pressure Relief Valve(과압 방출밸브): 초과압력 해소용.
- Selector Valve 및 Actuator: 실제 하중(레버/랜딩기어 등)에 유압 전달.
계통별 기능적 차이와 시험 준비 포인트
A, B, Standby 3회로의 구조 메커니즘(Back-up 방안) 및 탑재 위치, 각 시스템이 독립적으로 담당하는 작동 분야(Flap/Slat, Main Gear Brakes, Flight Controls 등)를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실제 구술 및 면접에서 자주 나오는 질문이다.
- A, B 시스템은 상호 백업이 가능하나, 일부 기능(Ground Spoiler, Alternate Brakes 등)은 Standby로만 대체가 가능하다.
- 전동펌프와 엔진펌프의 차이, 우선순위 연계작동도 질문에 자주 나온다.
트러블 원인과 동작 원리 해석
유압 저하·Loss 시 대표 고장 현상
구술시험 단골 질문이다. 계통별 압력 손실·누설이 발생할 경우, 실제 어떤 현상이 나타나는지 근본 이유를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예시로 Main Gear Brake Pressure, Flight Control Response 저하, Master Caution(HYDR) 점등 등을 들 수 있다.
- 유압 저하시 해당 계통이 제어하는 작동 부분 모두가 제한되거나 느려진다.
- 계통압(PSI) 급락 시 펌프 압력스위치, LOW QUANTITY 스위치 등 센서계가 신호를 보낸다.
항공정비사 양학동선 | 구술, 면접 전자책 구경하기
🔧항공정비사 구술, 자소서 양학하기 | Notion
구술 공부 하다보면, 이해가 안되는 개념들 있죠? 미친듯이 검색해서 겨우 하나 이해했는데 시간보니 3시간 지난거 알고 현타 온적 있으신가요?
curved-swim-7ef.notion.site
압력/오일량 센싱 메커니즘 및 고장 추적 절차
정비사가 실무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부분이다. Pressure Transmitter, Quantity Transmitter 및 Control Panel과의 상관 관계, CMC(Fault History) 점검법까지 연계해서 실질적 분석이 필요하다.
- 센서 신호 이상 시 Display unit, CMC diagnostic 단계로 진입한다.
- 현장진단 과정에서 Isolation Test 및 계통별 Leak Test로 구체적 원인을 좁힌다.
정비 실무와 트러블슈팅 과정, 오류 정정
정비시 실제 순서·점검 포인트
구술, 실무 시험 모두에서 강조되는 부분이다. 유압계통 문제 발생 시 단순 부품교환이 아닌, 계통적 동작원리의 이해를 바탕으로 절차 접근이 중요하다.
- 증상확인(계기판 HYD PRESS/QUANTITY/LEAK), 회로별 Valve Pos. 체크, 관련 스위치/센서 진단.
- 단순 센서 이상과 실제 오일 누설/파손을 감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무현장의 대표적 오해와 오류
엔진펌프가 멀쩡하더라도 유압이 나오지 않을 수 있고, 센서계 고장을 놓치고 무의미하게 부품 전체를 바꿔버리는 실수가 흔하다. 또한, Standby System 자체 개입 조건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모든 현상을 동일계통 이상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있다.
- 단순 HYD QTY 경고만 보고 계통 전체 FAULT로 오진 우려가 있다.
- 기본적인 계통 PLACARD 및 절차서를 숙지하고 진단하는 습관이 중요하다.
2025.06.05 - [항공] - 올레오 스트럿 원리와 랜딩기어 한눈에 정리! 5분 완성 가이드
올레오 스트럿 원리와 랜딩기어 한눈에 정리! 5분 완성 가이드
올레오 스트럿과 랜딩기어의 구조와 작동 원리를 상세 분석.충격 흡수 메커니즘부터 구성 요소까지 항공정비사 전공 지식 총정리. 항공기 착륙 시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엄청난 충격을 어떻게
thinkanddoequalachieve.com
본 글은 “보잉737NG 유압계통 Troubleshooting 핵심”의 “구조 및 구성품 설명, 고장 진단 시 현상, 트러블슈팅 순서·오류”를 중심으로 재구성하였다.
'항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기 시동계통(Starter Generator) 고장 사례: 구조, 작동 원리, 점검 포인트 5분 총정리! (0) | 2025.09.27 |
---|---|
피토정압계통 결빙 점검과 복구 절차: 원리, 구조, 정비 실무 적용 3가지 포인트 (0) | 2025.09.26 |
토크값 계산, 체결 불량 예방 방법, 항공기 볼트 체결 실무의 핵심 원리 3가지 포인트 (0) | 2025.09.25 |
비파괴검사(NDT) 기본: PT·MT 적용 예시로 본 실제 정비 적용과 오해 5분 정리 (0) | 2025.09.24 |
연료계통 크로스피드 밸브(Crossfeed Valve) 구조와 운용 원리, 실무 안전조치 5분 정리 (0) | 2025.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