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320 전기계통(AC/DC)의 개념과 기본 구조
A320 AC/DC 계통의 기본 개념
학생들이 자주 헷갈리는 개념이다. A320의 전기계통(Electrical System)은 항공기의 모든 장비와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 계통은 크게 교류(AC: Alternating Current)와 직류(DC: Direct Current) 계통으로 나뉜다.
- AC 계통은 주로 115V/400Hz, 3상 교류를 기본으로 하며 주요 동력, 조명, 펌프 등에 사용된다.
- DC 계통은 28V DC를 기반으로 하며, 계기류와 저전력 소모 장비 등에 주로 적용된다.
A320에서 AC 전기는 엔진 장착형 발전기(엔진 제너레이터, IDG), APU(Auxiliary Power Unit), 지상전원(Ground Power Unit) 등에서 공급된다. DC 전기는 AC에서 변환하거나 배터리로부터 공급 받는다.
A320 전기계통(AC/DC) 주요 구성요소와 계통도
A320 전기계통의 구성을 실제 정비 도면과 시스템 페이지를 예시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Main AC Bus, Essential AC Bus, Galley Bus, AC Ground Service Bus 등으로 각 기능별 버스(Bus)로 분배됨
- DC는 TR(Transformer Rectifier) 유닛을 통해 AC를 DC로 변환해 3개의 Main DC Bus, Essential DC Bus 등으로 다시 분배됨
- 배터리(2개)는 DC Bus와 중복 연결되어 비상 상황에서 독립된 전원 공급이 가능하다
계통 구성은 Redundancy(이중성), 순차적 연동, 비상 독립성을 철저히 구현한 구조이다.
전기계통(AC/DC)의 정상 동작 원리와 제어 방식
Normal Source Priority와 자동 제어
구술시험 단골 질문이다. A320 전기계통(AC/DC)에서 전원공급 우선순위(Normal Source Priority)는 다음과 같다.
- 먼저 Engine Generator(IDG)에서 정상적으로 AC 공급
- 엔진 제너레이터 이상 시 APU Generator 자동 전환
- APU 사용 불가 시 지상전원(GPU)로 전환
- 완전 비상상황에선 배터리/ESS TR/비상발전기(RAT) 등으로 공급
모든 전원 전환은 시스템 내 BCL(Bus Control Logic) 및 자동 리레이에 의해 감시·제어된다.
항공정비사 양학동선 | 구술, 면접 전자책 구경하기
🔧항공정비사 구술, 자소서 양학하기 | Notion
구술 공부 하다보면, 이해가 안되는 개념들 있죠? 미친듯이 검색해서 겨우 하나 이해했는데 시간보니 3시간 지난거 알고 현타 온적 있으신가요?
curved-swim-7ef.notion.site
계통 고장시 동작 및 오해 정정
정비 실무에서 “비상시 무조건 배터리만 쓴다”는 오해가 있다. 실제로 A320은
- Main AC 공급 상실 시 RAT(Ram Air Turbine)이 자동 전개되어 ESS AC→ESS DC Bus에 전력 공급
- 배터리는 ESS DC 주 전원·APU 시동 등 단기적/신속하게만 쓰고, 장시간 운영은 ESS TRU, RAT로 이관된다
각 버스 분리/결합·자동 스위칭 논리는 FWC·ECAM 등과 실시간 연계되어 경고·안내를 진행한다.
정비 실무에서의 A320 AC/DC 계통 점검 포인트
주요 정상·비정상 점검 절차
점검 실무에서 빈번히 요구되는 포인트를 정리한다.
- IDG Oil Level/Visual Check 및 Exhaust Fan 작동 확인
- Bus Tie, TRU Fuse, Power Relay 조작 여부 및 TR 전류(Ripple) 이상징후 감시
- AC/DC Voltmeter, Ammeter 확인(버스별 정상전압, 발진·노이즈 검사, TR 작동상태 등)
- 비정상 시 ECAM Warning/Status 확인 후 E/E COMPARTMENT 계기 실측
점검 중 전원 스위칭 오작동, 바이어스(버스 우선순위) 착각에 유의해야 한다.
정비 실무시 자주 발생하는 오류 및 오해
실무에서 자주 접하는 문제점으로는
- AC/DC Fault Light 원인 오진: 단순 버스 전환 지연, 임시 절체 구분 실수
- TRU 오작동을 배터리 문제로 오인, 반대로 단순 배터리 방전을 TRU 결함으로 착각
- RAT 안전핀 미제거나 릴리즈 전동 불량으로 비상공급 부재 발생 등
실제 고장 현장에서는 점검절차서 순서 준수, 각 계통별 진단시험기(‘GCU BIT Test’ 등) 결과의 정확한 해석이 필수로 요구된다.
2025.06.10 - [항공] - 항공기 ESS BUS란? 최우선 전원 계통
항공기 ESS BUS란? 최우선 전원 계통
항공기 ESS BUS는 왜 중요할까요? 필수 계통 전원 구조와 비상 상황 대응법, ESS BUS가 연결된 장비까지 쉽게 정리했습니다.ESS BUS란 항공기의 최우선 전원 계통입니다.비상 상황에서 어떤 장비를 살
thinkanddoequalachieve.com
본 글은 [A320 전기계통 정비 실무]의 [1. A320 전기계통의 원리와 구조, 2. 정상 동작 및 점검 절차, 3. 오작동·점검시 오해와 오류 대처]를 중심으로 재구성하였다.
'항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잉737NG 유압계통(Hydraulic System) 트러블슈팅: 구조, 원리, 실무 적용 5분 정리! (0) | 2025.09.28 |
---|---|
항공기 시동계통(Starter Generator) 고장 사례: 구조, 작동 원리, 점검 포인트 5분 총정리! (0) | 2025.09.27 |
피토정압계통 결빙 점검과 복구 절차: 원리, 구조, 정비 실무 적용 3가지 포인트 (0) | 2025.09.26 |
토크값 계산, 체결 불량 예방 방법, 항공기 볼트 체결 실무의 핵심 원리 3가지 포인트 (0) | 2025.09.25 |
비파괴검사(NDT) 기본: PT·MT 적용 예시로 본 실제 정비 적용과 오해 5분 정리 (0) | 2025.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