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 오버홀(Brake Overhaul) 개념과 구조
브레이크 시스템 핵심 구조 설명
학생들이 자주 헷갈리는 개념이다. 항공기 랜딩기어 브레이크(Brake)는 감속 및 정지, 회전 방향 제어라는 비행 안전의 최종 보루 역할을 한다. 브레이크 오버홀은 해당 구성품을 완전히 분해하여 각 부품의 마모·손상 여부를 상세히 점검하고, 최적 성능 상태로 복구하는 정비 행위이다. 랜딩기어 브레이크 시스템의 주요 구성은 다음과 같다.
- 토크 튜브(토크로드)와 링크: 회전력을 지탱하며 구조적 연결을 담당한다.
- 브레이크 디스크(로터·스테이터): 마찰로 감속력을 발생한다.
- 피스톤 & 실: 유압 작동력 전달 및 밀폐 역할을 한다.
- 리턴 스프링, 실드, 고정 핀 등 각종 보조 부품들로 구성된다.
브레이크 오버홀을 통해 각 부품의 실제 마모량과 균열, 오염, 변형 등을 발견하여 교체·정비 여부를 판정한다. 완벽한 시스템 복구를 위한 프로세스가 요구된다.
브레이크 오버홀의 원리: 마찰·에너지 변화
오버홀 점검 중심 질문 중 하나가 ‘브레이크 작동 시 발생하는 현상’에 대한 깊은 이해이다. 항공기 브레이크는 유압(Hydraulic Pressure)이나, 대형기는 전자식 큐브브레이크(Electro-Hydraulic)까지 사용된다.
- 페달 조작→마스터 실린더 압력 발생→작동유 유입 및 피스톤 밀착→로터와 스테이터 간 마찰→감속력 발생
- 마찰에너지 상당 부분이 열에너지로 전환되어 부품 열화 우려가 크다.
때문에 마모, 과열, 실 크랙 여부 점검이 오버홀 시 필수적이다. 구조와 원리를 현장에서 체화해야 비정상적 패턴에도 정확히 대응할 수 있다.
오버홀 점검 항목과 핵심 체크포인트
항공기 랜딩기어 브레이크 오버홀 실무 점검 목록
구술시험 단골 질문이다. 실제 오버홀 점검(Inspection) 항목은 아래와 같이 구조별, 손상별로 세분화된다.
- 디스크(로터·스테이터): 과도한 마모, 스코어링·크랙·칩핑, 과열 흔적 확인
- 피스톤·실: 윤활손실·누유·실 파손, 스프링 장력·복귀 성능 점검
- 핀·볼트·스프링: 풀림, 신장, 파손, 재조립 시 토크 체크 필수
- 내부 오염·이물질: 금속 분진 등 미세 입자, 이물질 유입 여부
- 부품간 간극(클리어런스): 정격 규정 초과 시 부품 교환
각 항목은 제작사의 정비 매뉴얼(MM, CMM)에 따라 구체적 기준값이 달라지므로, 매뉴얼 참조가 전제 되어야 한다.
항공정비사 양학동선 | 구술, 면접 전자책 구경하기
🔧항공정비사 구술, 자소서 양학하기 | Notion
구술 공부 하다보면, 이해가 안되는 개념들 있죠? 미친듯이 검색해서 겨우 하나 이해했는데 시간보니 3시간 지난거 알고 현타 온적 있으신가요?
curved-swim-7ef.notion.site
주요 불량 유형과 정비 체크포인트 해설
정비 실무에서는 반드시 실증적 점검이 요구된다. 주요 불량 및 주의 점을 정리한다.
- 과열로 인한 디스크 열처리 변색: 섣부른 연마 작업 금지, 반드시 규격 확인
- 실(Seal) 미세 누유: 반복 조립 시 재사용 금지, 불량 발생 빠름
- 핀·고정 볼트 토크 미달: 구조 결함 위험, 토크렌치 정확 사용
- 부식: 경미 부식도 심각한 균열 전조 가능성 있어 반드시 세척·교환
정비사 경험상, 오버홀 시 ‘한 번 대충 보면 된다’는 안일한 생각은 금물이다. 예비 점검 기록 및 사진 기록을 남기는 습관이 사고 예방에 유효하다.
정비 실무 적용과 자주 나오는 오해 정정
실무 적용 시 유의사항과 정비 경험 정보
정비 경험이 쌓여도 “브레이크 오버홀은 단순 분해·조립만 하면 끝”이라는 오해가 많다. 실제로는 각 공정별로 불량 확인 및 재조치에 상당한 경험치와 관찰력이 필요하다.
- 부품 분석은 단순 마모·파손 외에도 피로균열, 고온 취약점, 엣지 균열 등 미세 결함까지 포괄해야 한다.
- 조립 전 세척은 공칭 규격에 맞춰야 하며, 재조립시 본딩제, 윤활제, 실리콘 등 사용 기준을 철저히 따른다.
- 제작사 매뉴얼의 기준 미준수는 향후 항공기 운항 중 브레이크 소실 등 치명적 결함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부품 바코드 트래킹 및 Traceability 관리가 국내외 항공사에서 필수 의무로 요구되고 있다.
브레이크 오버홀 관련 자주 발생하는 오해와 정정
학생과 신입 정비사 사이에서 반복되는 오해는 아래와 같다.
- “외관상 멀쩡하면 가공 없이 사용 가능하다” → 실제로는 미세 크랙 등 비파괴검사(NDT)로만 탐지되는 결함 많다.
- “토크렌치 없이도 꽉 조이면 충분하다” → 구조물이 알루미늄/합금 등 경량재인 경우 과토크는 균열의 원인이다.
- “브레이크 오버홀 주기마다 반드시 모든 부품을 신품으로 교체한다” → 재사용·복구 가능한 부품은 검사 후 계속 사용한다.
결국 오버홀은 ‘조립’이 아니라 ‘규정에 입각한 부품 생명주기 평가 및 복원’이라는 사실을 실무에서 체득해야 한다.
2025.06.05 - [항공] - 올레오 스트럿 원리와 랜딩기어 한눈에 정리! 5분 완성 가이드
올레오 스트럿 원리와 랜딩기어 한눈에 정리! 5분 완성 가이드
올레오 스트럿과 랜딩기어의 구조와 작동 원리를 상세 분석.충격 흡수 메커니즘부터 구성 요소까지 항공정비사 전공 지식 총정리. 항공기 착륙 시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엄청난 충격을 어떻게
thinkanddoequalachieve.com
본 글은 『항공기 랜딩기어 브레이크 오버홀 PDF』의 “브레이크 오버홀 주요 점검 항목은?”, “구조별 점검 순서”, “오해하기 쉬운 정비 포인트”를 중심으로 재구성하였다.
'항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기 니켈카드뮴 배터리 점검 절차의 전공 원리 및 실무 적용 5분 정리! (0) | 2025.09.30 |
---|---|
A320 전기계통(AC/DC) 점검: 원리, 구조, 실무에서 꼭 짚어야 할 포인트 (0) | 2025.09.29 |
보잉737NG 유압계통(Hydraulic System) 트러블슈팅: 구조, 원리, 실무 적용 5분 정리! (0) | 2025.09.28 |
항공기 시동계통(Starter Generator) 고장 사례: 구조, 작동 원리, 점검 포인트 5분 총정리! (0) | 2025.09.27 |
피토정압계통 결빙 점검과 복구 절차: 원리, 구조, 정비 실무 적용 3가지 포인트 (0) | 2025.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