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항공, 여행

항공 전문 인력 숫자에 관한 이야기

by 리 신 2024. 10. 28.
반응형

항공 인력 숫자에 관한 이야기

 

목차

금값 같은 티켓값

불타는 여행수요와 치솟는 가격은 여행객들에게 큰 고려요인이 되었습니다. 항공권은 왜 이리 비싼지 의아해하며 어떻게든 합리적인 가격에 구매하려고 노력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현상의 원인, 영향, 저렴한 방법 등을 특이한 관점에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다들 아시다시피 잃어버렸던 여행의 경험을 되찾고자 소중한 사람들과 함께 해외여행으로 나가려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수요가 항공권 공급보다 높아져 비싸지게 되었습니다. 그 외에도 연료가격 등의 이유가 있지만 잘 알려진 이야기이므로 다른 관점에서 살펴볼까 합니다. 실제로 그 시기에 항공사에서 근무한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흥미요소가 있을 것이라 판단됩니다. 

경영상의 필연적인 조치

이번에 주로 다룰 이야기는 경영, 구조적인 원인으로부터 어떻게 티켓 가격이 이리 높게 결정되었는가 입니다.

유래없는 위기를 맞아 회사의 존속을 책임져야 하는 경영진들이 할 수 있는 조치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그들의 입장에서 한번 생각해 보기로 합니다. 우선 예전만큼 장사가 안됩니다. 노는 인력, 노는 항공기가 많습니다. 즉 나가는 돈은 똑같은데, 버는 돈은 급격하게 줄었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빌려온 항공기를 반납하여 임대료를 줄입니다. 그 후 매월 나가는 직원들 급여를 줄입니다. 무급휴가를 받으며 돌아가면서 근무를 하는 초기의 대응방식도 해가 지날수록 더 이상 불가능해집니다.

결국 경영상의 이유로 어쩔 수 없이 회사의 규모 자체를 줄여 대처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문제는 여기서 발생합니다.그럼 위기가 해소되었을 때는 어떡할까요? 갑자기 고객이 급증합니다. 하지만 모든 고객을 수용할 항공기가 부족합니다.항공기를 정비하고 운영할 인력도 부족합니다. 남아있던 직원들에게 최소한으로 지급하던 월급만으로는 급증한 노동강도에 시달리는 직원들의 항의를 무시할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신규, 경력등의 인력채용을 해야 하고 임금도 인상해야 합니다. 항공기도 임대료를 내고 새로 빌려와야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소비자 가격이 증가합니다.

인력의 숫자와 작업강도 간의 관계

항공법은 땅 위가 아니라 공기 중이라는 특수한 환경을 운행하는 운송수단인 항공기의 운영에 대해 더욱 철저하게 관리를 합니다. 가장 흔한 예시로는 승무원들의 운항 횟수와 시간제한입니다. 항공기에 직접 탑승하여 조종하고, 승객들의 안전을 책임지는 승무원들은 기본적으로 수면시간, 알코올측정, 근무 시간, 근무 횟수등을 법적으로 보장받습니다. 모든 승무원들의 주/야간 근무시간이 기록되며 그를 통해 근무가 관리됩니다. 즉 갑자기 항공기 수요가 많아지면 그만큼 조종사들이 더 비행하면 되는 거 아니냐? 는 반박이 통하지 않는다는 이야기입니다. 

정비사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보유 항공기당 고용해야 하는 정비사의 숫자가 항공법에 정해져 있습니다. 이 두 가지 예시는 인력이 부족해서 작업강도가 강해져, 실수나 피로와 같은 인적요인에 의한 항공기 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항공기는 사고가 발생하면 특히나 위험한 운송수단이기 때문에 이와 같이 작업강도와 인력의 숫자 간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법제화해두었습니다. 이 때문에 인건비가 증가하고 티켓값이 증가하지만, 이는 모두 승객들의 안전을 위한 조치임을 알아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